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"퇴사 후에도 건강보험이 계속 나가더라고요." 저도 예전에 퇴사하고 한참 뒤에야 4대 보험 미납 금액이 쌓이고 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. 미리 확인만 했어도 체납 이자까지 부담하지 않았을 텐데 말이죠.

     

    4대보험 미납 확인, 꼭 해야 하는 이유

    4대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은 매달 급여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지만, 회사를 그만두거나 사업자가 변경될 경우, 미납 상태로 전환되거나 중복 납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
    이걸 놓치면 체납 이자 발생, 신용 관리 불이익, 퇴직금·연금 수령 시 감액 등 불필요한 손해를 입을 수 있어요.

     

     

    4대보험 미납 조회, 3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방법

    ✔ 아래 방법대로 하면 별도 인증서 없이도 모바일로 확인 가능합니다.



    ① 국민연금 미납 조회
    - PC :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▶ 전자민원 ▶ 개인 민원 ▶ 납부 내역 조회

    - 모바일 : '내 곁에 국민연금' 앱 ▶ 납부내역 ▶ 납부예외, 체납 여부 확인



    ② 건강보험 미납 조회
    - PC :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▶ 민원신청 ▶ 납부확인서 발급

    - 앱 : 'M건강보험' ▶ 납부조회 ▶ 건강보험료 체납 내역 확인 가능

    - 단,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음



    ③ 고용보험·산재보험 미납 확인
    - 경로 :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▶ 개인/사업자 로그인 ▶ 보험료 조회

    - 사업자 등록자는 피보험자 이력까지 확인 가능

     

     

   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

    ✅ 이직 후 보험 자동 전환이 안 되어 중복 납부되거나 누락될 수 있음
    ✅ 건강보험은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금액이 급등할 수 있음
    ✅ 국민연금은 체납 시 향후 연금 수령에 영향
    ✅ 납부 확인서는 PDF로 출력 가능하니 보관해두는 게 좋습니다

     

     
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대보험 미납 조회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 하지만 한 번이라도 놓치면 손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, 1~2달에 한 번씩은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

    특히 퇴사, 이직, 사업자 전환 등 변화가 있는 시점엔 꼭 확인해야 합니다. 놓치지 말고 바로 오늘 확인해 보세요!

    반응형